안도현과 문태준 시인을 만나고
안도현과 문태준 시인을 만나고
  • 김상기
  • 승인 2010.07.18 1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시인협회, 도심 속 문학강좌
전북시인협회가 주관하는 ‘제3회 도민과 함께하는 도심 속 문학강좌’가 지난 16일과 17일, 이틀 동안 전주 완산구청 맞은편 소재 춘향골 문화마당에서 열렸다. 우리 시 정신을 일깨우고 창작 시 정신 고양을 위한 이 자리에는 안도현(16일)과 문태준(17일)이라는 시대를 선도하는 시인들이 동참했다. 이들이 말하는 ‘시’에 대해 정리했다.

#안도현
대중성과 문학성을 골고루 겸비한 자타공인 국내 대표 시인 안도현(49). 소월시문학상(1998), 이수문학상(2005), 윤동주문학상(2007), 백석문학상(2009) 등을 수상했다. 그대에게 가고 싶다, 외롭고 높고 쓸쓸한, 그리운 여우, 바닷가 우체국, 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하여, 너에게 가려고 강을 만들었다, 간절하게 참 철없이 등의 시집이 있다. 또한 동시집 ‘나무 잎사귀 뒤쪽 마을’과 어른들을 위한 동화도 다수 발표했다.

“지금까지 발표한 1000여 편의 시 중 그 어떤 시도 첫줄부터 끝줄까지 한 번에 쓴 적이 없습니다. 정말 많이 고치고 고칩니다. 최소 50번 이상은 고쳐야 시가 한 편 탄생하는 것 같습니다. 재능을 타고 난 시인이 있을 수도 있으나, 적어도 난 그런 것 같지 않습니다.”

안도현은 ‘관찰’의 역할을 특히 강조했다. “시인의 관찰은 과학자의 관찰 이상이어야 합니다. 시인은 사실 너머의 것까지 다뤄야하기 때문입니다. 제가 15년 전 어른을 위한 동화 ‘연어’를 쓸 때만 해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연어에 대해 많이 알지 못했습니다. 저도 그랬고요. 그때 글을 쓰면서 연어 관련 사진집이나 영상물은 거의 다 찾아서 봤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자료를 구했죠. 연어 관련 논문들도 거의 다 읽었고, 집에서 송사리를 키우며 물고기들의 습성이나 행동 양식을 관찰하기도 했죠. 그런 과정이 있은 후에야 연어라는 책 한권이 나올 수 있었던 것입니다. 관찰은 그만큼 중요해요.”

시가 생겨나고, 시가 있어야 할 자리에 대해서도 나름의 언어로 풀어냈다. “시는 하느님과 창녀 사이에, 골방과 광장 사이에, 망원경과 현미경 사이에, 손끝과 가슴 사이에, 묘사와 고백 사이에 있어야 합니다. 시인은 성스럽지만 속되고, 개인적이면서 사회적이고, 거시적이고 미시적이며, 진정성의 문제, 허구와 실제의 문제 등에 직면해서 그 수위를 잘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한 가지 더. “저는 술도 좋아하지만 술 마시며 시 쓴 적이 없고, 숙취가 남아 있을 때 시를 쓴 적도 없습니다. 시는 시만 보고, 시만 생각하고, 시만 쓰게 되는 그런 절대적인 혼자만의 시간을 요구합니다. 그럴 때 좋은 시가 나옵니다.”


#문태준
현재 한국 시단에서 가장 주목받는 시인 중 한 명이 바로 문태준(40)이다. 1994년 문예중앙으로 등단한 후, 첫 시집 ‘수런거리는 뒤란’에 이어 ‘맨발’, ‘가재미’ 등을 내놓으면서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2004년에 동서문학상, 노작문학상, 유심작품상을 수상했고, 이후 미당문학상에 이어 소월시문학상까지 휩쓸었다. 2년 연속 ‘문인들이 뽑은 가장 좋은 시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김소월, 백석, 박목월 등 전통 서정시인의 계보를 잇는 새로운 대표주자로 소개된다.

“중환자실에서 죽을 고비를 넘기고 이제 막 일반 병동으로 옮겨 온 환자의 시선으로 시를 써야 합니다. 깨어나고 회복되는 느낌, 세상에 대한 환희심으로 가득 찼을 때 진정한 시가 나올 수 있습니다.”

문태준은 시를 ‘관계의 발견’으로 정의했다. “시는 곳곳처소에 즐비하게 널려 있습니다. 세상 모든 것이 시를 자극할 수 있죠. 하지만 세상에 있는 것들은 단독적으로 설명될 수 없습니다. 그것들은 모두 서로 주고받는 관계에 의해 정의될 수 있죠. 그 대상들과의 관계를 새롭게 발견해내는 것이 바로 시라고 생각합니다.”

시를 쓰며 주의해야 할 점들도 지적했다. “시인이 우월적 화자가 되면 안 됩니다. 시를 쓰는 자신이 모든 걸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안 돼요.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우월적이어서는 안 됩니다. 겸손해야 많은 걸 들을 수 있습니다. 자기를 안으로만 가두지 마십시오. 생각만하지 말고 출렁출렁해야 시가 나옵니다. 그리고 번다함을 피해야 좋은 시가 나옵니다. 바쁘게, 열심히 사는 것과는 달라요. 마음이 번거롭지 않아야 좋은 시를 쓸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