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 극복 어렵지만, 꿈을 잃지 말길”
"시각장애 극복 어렵지만, 꿈을 잃지 말길”
  • 김주형
  • 승인 2021.12.23 14: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제출신 인천시무형문화재 조경곤, 제자 14명과 발표회
- 시각장애 극복하고 세계최초로 고법(북·장구) 인간문화재 등극

조경곤 예능보유자가 최근 14명의 제자와 함께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풍류관에서 북·장구(고법) 제자발표회를 열었다.

인천시무형문화재 23호 고법(북,장구) 예능보유자 조경곤 씨는 지난 2013년 4월 30일 시각장애인 최초로 인간문화재가 됐다.

그는 1967년 1월 6일 김제 출신으로 단돈 1만5000원 가지고 서울에 올라와 우여곡절 을 거쳐 현재 인천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전통 음악 예술을 보존 및 전승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그의 구체적 활동분야는 판소리와 민요를 부르는 소리꾼의 노래에 맞추어 북과 장구로 반주를 하는 영역이다.

구체적 활동은 판소리와 민요를 부르는 소리꾼의 노래에 맞추어 북과 장구로 반주를 하는 분야로, 고수라고도 한다.

조경곤 예능보유자는 세계 유일무이한 북,장구 문화재이다. 전국적으로 북 문화재는 있어도 장구 문화재는 없다.

그는 2013년 4월 30일 북 문화재에 이어 2019년도에 장구 문화재에 오르면서 명실공히 고법(북,장구) 문화재가 됐다.

그는 그의 50녀년 국악인생에 대해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운동을 좋아해서 격투기 등 몸을 쓰는 운동을 많이 하다가 그만 눈에 부상을 입고 말았다. 그 부상으로 녹내장 후유증이 생기고 망막 박리가 되어 30대 초반부터 빛을 잃어가 실명에 이르렀고. 현재는 빛도 보이지 않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런 사람이 어떻게 무형문화재 고수가 되었을까"라는 질문에 그는 "우리 전통 음악 북,장구 장단을 치는 고수는 반드시 노래를 부르는 소리꾼의 입모양을 정확하게 봐야 합니다. 호흡도 감지하며 박자를 맞춰야 하고요. 모든 전통음악 분야의 전체가 제 머릿속에 있어야 하고 저의 모든 감각이 소리꾼이 지금 어떻게 부를 것이다 라는 것을 1초만에 감지해야하며 반주를 해야합니다. 때로는 소리꾼이 실수를 해도 제가 미리 알고 맞추어 친 적도 있지요"라고 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을 완벽하게 연주하기 위해 그야말로 머리카락이 반 이상 탈모되고 무릎과 가슴에 멍이 들고 손바닥에 피가 나고 까지고 하는 인내의 시간들이 있었어요. 하루 10시간 이상 북과 장구를 치며 홀로 연습을 해본 사람만이 그 인내의 시간들을 알 수 있죠. 분명한 목표와 꿈을 이루기 위해 시각의 장애를 입고 이토록 몸부림치는 시간들을 보내는 사람은 더는 나오지 않을 거예요"라고 말했다.

처음 서울에 올라와 서초동 꽃마을 비닐하우스 집에 들어가보니 쥐가 왔다갔다 하고 겨울에는 그릇에 물이 얼어있고 물과 전기가 들어오지않는 참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견뎌야 했습니다. 거기서 저는 고수의 최고점에 올라야겠다는 꿈을 거머쥐었습니다. 저에게 남아있는 잔존 능력은 국악이였습니다.

그는 "저의 집안 큰 아버지와 아버지의 노래하는 소리와 북소리를 들으며 성장한 저는 자연스레 국악문화권에 있어서 살아야겠다는 마음이 생겨났습니다. 저의 6세 때 어린 나이에 저희 집에 놀러오셔서 소리하시고 북을 치시던 국악인들의 음악소리를 들을 때마다 저도 모르게 발걸음이 옮겨져 재미있게 감상하곤 했었습니다. 성장하여 국악인은 배고프니 하지마라는 부모님과 큰아버지의 만류를 들었지요. 부모님 몰래 용돈을 모아 유명 선생님들을 찾아다니며 소리의 세계를 배우다가 큰 무대와 선생님이 계시는 서울로 가야겠다고 작정하고 올라가는 차비 만오천원만 가지고 성공해서 돌아오리라 결심하고 집을 나섰습니다. 그때만해도 혼자서 더듬거리며 다닐 수 있는 정도였기에 물어물어 기차를 탄 것이지요. 이후 저는 빛도 볼 수 없이 완전히 실명에 이르렀습니다"고 밝혔다.

"비닐하우스 근처 공사장을 지날때에 건물 지하시설을 위해 파놓은 구덩이에 떨어졌다가 살아나왔고 국립국악원에 가서 배우기 위해 지하철을 더듬거리며 타고 다니다가 지하철 철도로 떨어져서 죽을뻔한 일 구사일생의 순간들이 몇 번 있었지요. 비닐하우스에 수도시설이 안되어있어서 근처 건물 화장실에서 물을 떠오고 머리를 감고 다녔어요"라고 지난날을 술회했다.

“장애 중에서도 가장 극복하기 힘든 장애가 시각장애인입니다. 눈으로 보는데서 많은 정보를 얻고 느낌을 가지며 살아가기 때문이죠. 저는 시각장애인으로 제 인생이 바뀐 후 시각장애인 무형문화재가 되어 매우 의미있는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요즘같은 힘든 시기에 희망과 꿈을 잃지말고 다소 고통에 있더라도 열심히 노력하여 살자는 당부의 말씀을 여러분께 드리고 싶습니다.”고 그는 말을 마쳤다.

한편 지난 17일 인천시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2층 풍류관에서 열린 이번 공연에는 조경곤 보유자에게 전승을 받는 제자 강문자, 김경례, 김양례, 김향선, 민명희, 박미영, 박형출, 신미라, 이정희, 정정열, 조성민, 이정희, 황복희 등이 참여했다. 진도아리랑과 춘향가, 흥보가 등 15곡의 국악을 선보였다.

/김주형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