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부안군의 장학제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부안군의 장학제도
  • 이은생
  • 승인 2016.08.29 1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은생 사회2부장겸 완주지역담당

부안군이 지난 2014년 12월 나누미근농장학제도를 본격 운영하기 시작했다. 시행 1년 6개월이 지나면서 긍정효과를 낳고 있다.

부안군의 장학제도는 300억 원의 장학금을 조성해 학생들의 반값등록금을 실현하자는데 있다. 1000원, 1만원 금액으로 군민들이 부담없이 장학재단 통장에 입금하면 되는 구조다.

부안군 홈페이지에 장학재단 배너를 새롭게 추가하고 계좌번호까지 홍보하고 있어 언제어디서든 자연스럽게 후원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 갖췄다.

이에 현재 회원수가 4,000명을 훌쩍 넘어섰고 누적 금액은 83억 4,000여만 원에 이른다. 이를 바탕으로 2018년까지 기금을 조성,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돕고, 인재를 양성하자는 거다.

나누미근농장학제도는 김종규 군수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혁신을 일으켜야 한다”며 먼저 정책을 내 놨다. 이 뜻에 직원들이 합심해 제도를 개선하고,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위해 홈페이지 구축 후 계좌를 개설하는 등 홍보에 집중했다.

주목할 것은 직원들조차 초기부터 이처럼 큰 반향이 일어날 줄은 예상치 못했다는 것이다. 기존의 기부방식이 일반인들의 접근을 어렵게 했다면, 이 같은 기부방식은 접근방법이나 공신력, 소액의 후원금액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드러났다.

이것이 구전으로 전해지면서 애향심을 자극, 군민운동으로 확산돼 단체나 기업, 독지가들이 정기후원회원으로 가입할 정도에 이르렀다. 심지어 농부, 소상공인, 주부, 관광 온 외지인들까지 후원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

완주군도 어려운 이웃을 돕자는 취지로 지난 4월 16일 ‘1111소통기금’ 운영을 본격 시작했다. 하지만 소통 부족으로 인해 더 이상 확산되지 못하고 ‘지지부진’이다. 직원들의 무관심, 홍보부족 등 난맥으로 군민들은 소통기금이 무엇인지조차 잘 모르고 있다는 느낌이다.

그러다보니 출범 5개월째를 맞는데도 소액후원자나 일반인들의 후원회원 가입은 전무한 실정이다. 후원방식도 과거와 별반 다를 게 없다. ‘1111소통기금’으로 제목만 바꿔단 형국이다.

완주군의 ‘1111소통기금’은 군민과 출향인을 대상으로 후원회원을 모집해 지역 내 어려운 이웃을 돕자는게 기본 취지다. 100원, 1000원, 1만 원 등 금액을 따지지도 묻지도 않는다. 어린 학생들에서부터 청·장년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구조다.

이런 혁신정책이 지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하는데 기본 창구가 없다. 그나마 취지를 아는 주민들은 어떤 방식으로 의사를 표시해야 할지 모른다. 결국 일부 직원, 일부 군민만 아는 정책으로 전락하고, 제도 자체가 사장될지 모른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그래도 완주군은 시작이라도 했지만 전북도와 타지자체의 경우는 손 조차 대지 못하고 있다. 전북도나 남원, 김제, 정읍, 임실 등 타지자체는 지금도 행정 출원방식 장학재단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단체나 소수의 개인이 기부하는 방식을 따른다.

이 같은 제도는 부안군이 먼저 탈피해 혁신을 이끌어내면서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더불어 완주군도 이제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군민들의 애향심, 응집력 등을 보여주자는 게 효시다. 이것이 군민운동으로 확산돼, 형식을 탈피한 진정어린 기부문화로 확산된다는 것을 부안군이 먼저 보여준 셈이다.

이런 제도를 타 지자체 공무원들도 알고 있다 한다. 부안군이나 완주군에 제도 취지를 묻는 타 지자체 공무원이 있는가 하면, 부안군이 ‘하루가 멀다’하고 지면 등에 홍보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관심있는 공무원이라면 제도 취지에 공감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거기까지다. 부안군처럼 관행의 틀을 깨고 시작해야 하는데 그럴 생각이 없는 듯하다. 관행에 따라 행정출원으로 지급대상자를 선정해 전달하면 그만이다. 굳이 나서 힘들게 할 필요없다는 생각이 아직은 지배적인 듯하다.

아무리 좋은 정책도 행정이나 지역 주민이 교감치 않으면 공염불이 된다. 행정과 주민이 힘을 합치면 앞서 부안군 사례처럼 시너지 효과는 배가 된다.

그래서 행정이 먼저 나서 제도를 만들고 홍보에 전념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지역민들이 믿고 따르면 좋은 정책이고 소통이다.

가뜩이나 어려운 지방재정 현실에 부안군과 같은 정책이 혁신의 아이콘이 된다면 그보다 좋은 일이 어디 있을까? 여기에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군민들의 애향심까지 더해졌으니 더 말해 무엇하랴.

이은생/사회2부장겸 완주지역담당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