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탈당, 정계개편이냐 전북 자민련이냐?
정동영 탈당, 정계개편이냐 전북 자민련이냐?
  • 김주형
  • 승인 2015.01.11 19: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 총선 전주선거구 출마땐 지각변동 불가피

제 17대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를 지낸 정동영 전 대선후보가 11일 새정치민주연합 탈당과 함께 신당창당 준비모임인 '국민의 눈물을 닦아줄 수 있는 새로운 정치세력의 건설을 촉구하는 모임'(국민모임)에 합류를 선언했다.

전주고와 서울대 국사학과, 영국 웨일즈대 저널리즘학과를 졸업한 정동영 전 대선후보는 1978년부터 1994년까지 MBC 정치부 기자, '뉴스데스크' 주말앵커, '통일전망대' 앵커로 활약하며 대중적인 기반을 확보했다.

또 1996년 총선 때 전주덕진에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출마해 당선, 15대 국회에 입성했다.

이어 새정치국민회의 대변인·총재 특보·청년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새천년민주당에 합류, 대변인·최고위원·상임고문을 맡다 2003년 탈당해 열린우리당 창당을 주도했다.

열린우리당 초대 의장을 맡고 참여정부 때 통일부장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장을 맡아 국정운영에 참여했다.

17대 대선 직전 열린우리당을 탈당,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후보로 나섰으나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에게 패했다.

18대 총선 때 서울 동작을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뒤 4·29 재보선 때 탈당,  전주덕진에 무소속 출마해 당선됐다.

민주당에 복당한 이후 당시 정세균 전 대표에 대항한 이른바 '반정(反丁)연합'을 구성했고 당 최고위원을 지냈으며 19대 총선에선 서울 강남을에 도전했으나 낙선했다.

이 같이 화려한 이력을 지닌 정 전 대선후보가 새정연을 탈당, 국민모임 합류를 선언하면서 야권발 정계개편이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과 함께 전북 자민련으로 추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지역정가는 정동영 전 후보가 전북을 중심으로 호남지역에 압도적인 지지기반을 구축하고 있어 그의 탈당으로 내년 총선에서 호남지역은 새정연과 국민모임의 각축으로 치러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정 전 후보가 지난 2009년 재보선 당시 덕진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 정신연대를 통해 완산갑 신 건 후보의 무소속 당선을 이끌어낸 점 등에 비춰볼때 전북선거구에 직접 출마할 경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가에서는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치열한 접전을 펼쳤던 지난 2004년 제17대 총선과 2006년 지방선거 보다 더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국민모임에 천정배 전 법무부장관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참여하고 손학규 전 대표가 정계에 복귀할 경우 제3당은 물론 새정치민주연합을 위협하는 정치세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울러 새정치민주연합 2·8전당대회 이후 당내 일부 세력의 이탈 및 분당 움직임과 맞물릴 경우 야권 재편의 전주곡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하지만 정 고문의 신당행이 강력한 폭발력을 발휘할지는 미지수라는 반론도 있다.

먼저 새정치연합 내에서도 명분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현역 국회의원이 총선 공천을 포기하고 재야에 나갈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거의 없다는게 이유다.

또 4월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는 방안을 검토중인 국민모임이 어떤 성적표를 받을지도 야권재편의 태풍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

만약 의외의 선전을 펼칠 경우 대안정당으로의 입지를 다질 수 있지만 참패할 경우 존립 자체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으로 내몰리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정동영 전 후보를 제외한 거물급 인사의 참여가 현실화되지 않을 경우, 전북지역에서만 지역구 국회의원을 배출해 지난 1995년부터 2006년까지 충청도지역을 중심으로 군림한 자유민주연합(약칭 자민련)의 모습에 불과한 정당으로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동영 전 후보의 한 측근은 "아직은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지만, 신당설명회가 전주에서 개최되는 시점을 계기로 가시적인 움직임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또 기존 정치권에 실망한 상당수 지지자와 함께 도내 진보세력과 목사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의 참여 움직임도 시작될 것으로 관측된다"고 밝혔다.

/김주형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