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지락 폐사 늑장 대응이 피해 키웠다
바지락 폐사 늑장 대응이 피해 키웠다
  • 김주형
  • 승인 2013.06.14 09: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균호의원, 서해안 전체 18%불구 고창 81% 넘어

지난 1월 발생한 바지락 폐사로 고창군과 부안군 지역이 피해가 집중되면서 전북도의 허술한 대응이 도마에 올랐다.

13일 열린 전북도의회 임시회에서 오균호 의원(고창군 제2선거구)은 지난 1월 고창군 심원면 앞바다와 부안군 위도 양식어장 일대에서 바지락 폐사 사건이 신고된 이후 지난달 초까지 집계된 피해규모는 158건에 1,433ha에 이르며, 이중 고창지역이 149건에 1,297ha로 피해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번 바지락 집단 폐사는 전북뿐만 아니라 충남, 인천, 경기 등 서해안 일대에 걸쳐 나타난 현상이고 서해안 평균 폐사율이 18.3%임에도 불구하고 고창지역의 폐사율이 81.1%인 것은 도의 허술한 대응에 다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 의원은 실제 바지락 폐사 사태 발생 이후 전북 다음으로 폐사율이 높았던 충청남도는 피해 어장의 2차 오염을 최소화하고, 수온 상승으로 인한 잔여 바지락 보호를 위해 지난 4월, 긴급 재해대책비를 서둘러 투입해 폐사된 바지락을 수거하는 등의 대책마련에 나서섰지만 전북도는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고창지역은 지난 2월 1일 1차 피해조사시 폐사율이 24.4%에 불과했지만 지난 4월 15일 2차 조사 땐 폐사율이 81.1%까지 급상승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오 의원은 고창갯벌의 생태적 가치 보전을 위해서라도 이번 바지락폐사가 자연적인 원인이라고 단정하지 말고 영광원전 온배수나 퇴적환경 변화로 인한 인과관계 등 또 다른 원인은 없는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며 이번 피해원인에 대한 심층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도가 해당 지자체와 함께 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김완주 도지사는 "이번 바지락 집단폐사 원인은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에서 조사한 결과 기상변동에 의한 심한 기온차이와 저질변동 등으로 바지락이 동사한 것으로 규명되었다"면서 " 원전 온배수 관련 환경변화 등에 대하여는 지난 2006년에 도의회 차원에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온배수 피해조사를 실시했으나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바 있고 퇴적환경 변화 등 다른 인과관계에 대하여는 향후 실시할 예정인 해양 환경기초 조사와 수산자원의 증감 및 번식 등의 수산자원조사를 통해 분석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김주형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