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수를 정화 한 뒤 방류를 한다 하더라도 방사능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우려다.
전주에 살고 있는 김모(30대)씨는 “오염수를 정화해서 안전하다는 일본의 주장대로라면 얼마 전 중국의 말대로 일본 내 호수에 배출하지 않냐”며 “주변국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바다로 오염수 방류를 강행하는 것은 자신들도 위험성을 인지한 것이 아니냐”고 꼬집었다.
횟집을 운영하는 김모(30대)씨도 “오염수를 방류하면 안전하다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수산물에 대한 불신이 크지 않겠냐”며 “방사능 불안감에 수산물 소비가 감소하면 그 피해는 누가 책임질 것이냐”고 하소연했다.
전북지역 시민단체 등도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전북도의회와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 전북지역 시민단체는 8일 전북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는 엄청난 오염수를 정화하고 희석해 버리면 안전하다고 하지만 이는 희망 사항에 불과하다”며 “정부는 해양투기를 단호하게 반대하고 국제해양법 재판소에 제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오염수든, 처리수든, 희석수든 이는 방사성물질임에 변함없고 총량도 변함없다”며 “오염수가 한번 바다로 나가면 회수조차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현세대만 아니라 미래 세대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문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오염수 처리 방식에는 해양투기 외에 육상 보관이나 콘크리트 고형화 등을 통한 방식이 있고 일본 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전문가들도 제시하는 방식이다”며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방사성 오염수를 육지에 보관 처리하라”고 촉구했다.
단체에 따르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국민 설문 조사 결과 조사 대상의 85.4%가 반대 의견을 나타냈고, 조사대상의 연령, 성비, 정치 성향에 상관없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후쿠시마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는 대신 지상에 장기 보관을 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78.3%가 동의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단체는 “정부는 시찰단을 즉각 해체하고, 오염수 해양투기를 막을 대책을 원점에서 다시 세워야 한다”며 “또한 해양투기가 아닌 대안을 제시하고, 국제해양법 재판소 등 제소 절차부터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강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