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광역.기초지방의원…“공약게시 나몰라라”
전북 광역.기초지방의원…“공약게시 나몰라라”
  • 오병환
  • 승인 2009.09.28 14: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196명 지방의원 중 5명만 공약게시
도내 민선 4기의 광역 및 기초지방의원들이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들여다 본 결과 공약게시와 이에 대한 이행율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나 유권자에 대한 온라인 배려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상임대표 강지원/이하 실천본부)는 전국 광역・기초지방의원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홈페이지 운영과 선거공약 게시유무를 확인하고 28일 그 결과 발표를 통해 전북 지방의회의 실체가 이같이 드러났다.

이에 앞서 실천본부는 2008년에 이어 2009년에도 연속 실시하고 있는 ‘지방의원 웹 소통평가’의 의미와 목적을 주민과의 소통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나 ‘가장 쉽고, 편하고, 빠르고, 편리한’ 매체가 인터넷 공간이며, 선거공약 홈페이지 게시는 고시의 의무에 가깝다는 의미에서 모니터를 수행했음을 밝혔다.

아울러 실천본부는 전국 16개 광역의회와 230개 기초의회가 공동운영하고 있는 지방의원 홈페이지를 모니터 대상에 포함했으며며, 246개 지방의회의 지방의원 공동 홈페이지의 운영방식 모니터도 함께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가방식으로는 지방의원들의 책임성 제고를 위해 실시하는 사업인 만큼 공약실천노력과 그에 따른 효과성 등의 이행평가를 제외하고 (1)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가 (2) 홈페이지에 공약을 게시하고 있는가의 기본적인 범위로 단순화하여 모니터를 수행하였다.

실천본부가 이날 밝힌 자료에 의하면 도내 광역지방의원 37명은 전원이 다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지만 공약게시를 한 의원은 단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내 196명의 기초의원중 83%인 163명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163명의 도내 기초의원 중 자신이 내세운 공약을 홈페이지에 내건 의원은 전주시 의회의 국주영은. 장태환 의원, 정읍시 의회의 문영선, 정병선 의원 및 김제시 의회의 정호영 의원 등 5명뿐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서울시 구로구와 경기도 의정부시・안양시・이천시・여주군 등 5개의 지방의회에서 의원 전체가 홈페이지 운영과 공약게시를 하고 있었으며, 강원도 강릉시・영월군의 경우에는 의원 18명 전원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비례의원을 제외한 16명이 공약게시를 하고 있는 등 홈페이지의 운영과 공약 게시에서 우수의회로 확인됨에 따라 도내 의원들의 각성이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이번 실천본부의 자료에서는 지방의회 사무처의 지방의원 홈페이지 공동운영에 대한 의식이 대두된 가운데, 그 일례로 일부 지자체 지방의회 사무처에서는 지방의원들의 홈페이지에 공약 게시가 공직선거법 위반이 아닌지를 선관위에게 질의하는 중이라거나, 지방의원간의 형평성을 위해서 공약게시 코너를 만들지 않았다는 대답을 듣기도 하는 등 책임회피성 반응이 두드렀다는 점이다.

이는 선거공약은 선거를 위한 도구로만 생각할 뿐, 주민과의 공적인 계약이라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는다는 반증으로 해석되며, 또한 민선4기 지방의원들이 지역주민과의 약속들을 책임 있게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나 노력보다는 중앙정당이나 중앙의 유력 정치인들에게 줄 서서 재선을 보장 받으려는 개인적 욕심을 벗어나지 못하여 소중한 주민과의 계약을 너무 쉽게 파기하거나, 선거에서의 무책임한 약속남발이 재연될 우려를 낳게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실천본부는 “모니터 과정에서 지방의원의 공약을 실천하는 과정은 행정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이행이 쉽지 않다는 반론을 제기하고 있지만 지방의원의 선거공약이 행정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여 지킬 수 없는 업무의 범위였다면 선거 당시에 공약이행 노력에 대한 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면서, “지방의원들의 선거공약은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으로서 지역주민의 지방의원에 대한 불신이 더욱 커 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실천본부는 2009년도 지방의원 홈페이지 모니터 사업을 지속하는 이유는 지방자치의 꽃인 지방의회와 지방의원들의 선거공약에 대한 책임의식을 높이고, 지방의원의 선거공약 범위와 형태에 대한 사회적 논의 촉발, 공약이행과정에 효과성에 대해 지역별로 심도 있는 토론이 진행되어, 성숙한 지방자치를 앞당겨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서울=오병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