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가 오히려 청년실업 부추겨
고령화사회가 오히려 청년실업 부추겨
  • 오병환
  • 승인 2009.11.01 15: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예산정책처, “고령취업자 증가로 향후 청년.여성취업 불투명”
한국사회가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고령취업자 증가로 2010년대 평균 고용률은 58%에 머물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고령취업자 비중이 커지고 선진국에 비해 청년층과 30대 여성층에서는 특히 고용률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국회예산정책처는 1일 ‘고령화와 연령대별 고용률 변화 추이 및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고,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 및 고령취업자의 증가로 15세 이상 인구의 2010년대 평균 고용률은 58%대에서 정체하며 이후 점차 하락해 오는 2040년대에는 54%에 머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했다.

이날 예산정책처의 보고서에서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 정점에 달한 이후 10년간 연평균 -0.9%의 빠른 속도로 감소하기 시작할 뿐만아니라 그 감소속도가 전체인구의 감소속도인 -0.05%보다 더 빠를 것으로 예상됐으며, 생산성이 높은 30대~50대의 고용률은 1980년대 이후부터 70%대에서 정체하거나 다소 감소해온 반면 65세 이상의 고용률은 장기적 증가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는 은퇴 연령에 가까워질수록 고용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선진국에 비해 높은 고령 고용률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으로 35~49세 사이 남성 고용률은 91~92%로서 선진국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나 여성 고용률은 고령층을 제외하면 상당히 낮으며 이중 30대 여성의 고용률이 가장 낮아 전체적 여성 고용률 곡선은 M자 형태를 띄는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연령대별 고용률이 과거 30년간의 추세를 유지할 경우 생산가능인구 고용률은 2050년까지 현재의 수준인 63%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15세 이상 고용률은 2008년의 59%에서 2050년 54%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 성장잠재력 저하를 막기 위해 일과 가정 병행정책의 강화를 통해 남성에 비해 현저히 낮은 30대 여성의 고용률 및 출산율 제고를 도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파트타임 일자리 등 근무형태의 다양화가 필요하고 고용형태간의 차별이 없어야 하며, 불필요한 연장근무의 관성 등의 적극적 개선을 통해 젊은 부부가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함과 동시에 입시제도 개선 등을 통해 사교육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양육비 부담의 경감이 필요하다고 예산정책처는 제안하고 나섰다.

또한 취업준비인구의 증가와 청년 고용률 하락의 기저에는 임금 및 고용안정성의 양극화가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중장기적으로 양극화 해소에 힘쓸 필요가 있으며, 임금 및 고용안정성 등의 양극화로 인해 청년기의 선택이 평생의 기대소득 및 고용안정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현재의 구조하에서 단기적인 손실을 무릅쓰고 높은 임금 혹은 고용안정성을 제공하는 직장에 진입하려는 선택이 개인으로서는 합리적일 수 있으므로 청년 인턴 제도 등의 내실화를 통해 졸업 이후의 사회 진입 방식의 다양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예산정책처는 “선진국과 달리 노후대비 부족으로 인해 높은 근로의욕을 가진 고령자들이 근로빈곤층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고령자의 생산성을 제고하는 데 초점이 필요하다”면서 “현재 희망근로와 공공근로 등 고령층에게 주로 제공되는 일자리는 지속성이 부족하고 최저임금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는 단순근로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생산성이 낮을뿐더러 고령빈곤 탈출을 돕는데도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오병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