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어촌 선거구, 정치적 배려 절실
농산어촌 선거구, 정치적 배려 절실
  • 전주일보
  • 승인 2024.03.06 18: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레이(Gray) 총선. 오는 4월 제22대 총선을 상징하는 말중에 하나다.


조금은 생소한 이말은 '그레이 보터(Gray Voter)'라 불리는 6070(60세 이상) 유권자 수가 2030(18~39세) 유권자 수를 처음으로 앞지른 것으로 나타나면서 등장한 말이다.


행안부와 중앙선관위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6070은 1390만 명으로 2030(1373만 명)보다 17만 명 많다. 


21대 총선 때만 해도 6070은 2030보다 오히려 300만 명 적었다. 20년 전인 17대 총선에는 2030 비중이 6070의 3배 가까웠다. 


또 이 같은 그레이 보터가 더 많아진 유권자 인구 역전 현상은 전국적인 현상이 되고 있다.


실제, 선관위에 따르면 21대 총선 당시 17개 시·도 가운데 강원, 전남·북, 경북 등 5개 도에 그쳤지만 22대 총선에서는 부산, 대구, 충남·북, 경남을 포함해 10개 시·도로 확산됐다고 한다. 수도권과 대전, 광주, 울산, 세종을 제외한 전국에서 6070 유권자의 약진이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들 그레이보터는 적극적인 투표 참여층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21대 총선에서 60대 투표율은 80%, 70대 투표율은 78.5%로 전체 투표율 66.2%보다 크게 높았다.


반면 2030세대는 60%를 밑돌았는데 20대는 58.7%, 30대는 57.1%에 불과했다.


이처럼 그레이보터가 늘어나면서 최근 민주당 소속 전북의원들의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에 지역대표성을 강화하고 유권자수를 기준으로 포함하자는 주장에 다시 생각났다.


우리 전북은 이번 총선에서 우여곡절 속에 선거구 10석을 지켜냈다.


전북 국회의원 정수는 한때 24명(4~5대 국회의원)이었다. 이후 11~15대는 14명, 16대는 10명으로 줄었고, 17~19대에는 11명을 유지했으나 20에 10명으로 줄었다.
현재 국회의원 선거구는 인구를 기준으로 획정한다.


이로 인해 전북 등 비수도권은 갈수록 줄어드는 인구때문에 선거구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또 이로인해 4년후 23대 총선에서도 10석을 유지할 수 있겠느냐는 걱정이 제기된다.


이에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기준에 지역 대표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또 인구수 기준의 선거구 획정을 유권자수로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전북정치권은 농산어촌은 아이들, 청소년이 적고 고령화한 유권자가 많기 때문에 인구수 기준에 유권자수를 감안하면 전북선거구가 타지역 선거구와 균형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와 경제적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인구수만을 기준으로 하는 선거구 획정안은 벼랑 끝에 내몰린 농어촌 소멸을 가속화하고 지역 간 갈등을 부추길 수 밖에 없다, 이에 농산어촌 선거구에 대한 정치적 배려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