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중에 YTN 최대 주주인 한전 KDN과 4위 한국마사회가 지분 매각공고를 할 것이라고 한다. 공기업 지분 중심이었던 YTN이 개인 기업화 한다면 경영과 보도에 상당한 변화가 뒤따를 것이므로 YTN 내부와 국내 언론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현재 한전 KDN은 YTN의 최대 주주로 21.43%, 한국 인삼공사가 19.95%, 미래에셋 생명이 14.58%, 한국마사회는 9.52%, 우리은행이 7.40%, 기타 상장주식 소유자들이 27.12%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YTN은 1993년 9월 통신보도 전문업체 ‘연합통신’을 최대주주로 설립한 ‘연합텔레비전뉴스 법인으로 설립해 1995년 5월 보도 전문체널 YTN을 개국했다. 1997년 12월에는 최대 주주를 연합통신에서 한전KDN으로 변경했다.
이어 1999년에는(주)와이티엔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2001년에 코스닥에 상장했다. 2004년 해외 위성방송 YTN인터네셔널 채널 출범, 2007년에는 YTN FM 라디오를 법인으로 설립하여 2008년 개국했다. 2014년 4월에 현 YTN 뉴스 스퀘어 사옥으로 이전했다.
YTN과 사이언스 TV, YTN2 등 3개 방송채널을 두고 7개 지방 본부와 12개 지국, 워싱턴 ‧ 베이징 ‧ 도쿄 등 3개 해외지국을 두고 있다. 수익 부동산으로 서울 남산타워와 YTN뉴스 스퀘어 건물도 소유하고 있는 거대 공공언론 채널이다.
장황하게 YTN의 상황을 정리한 까닭은 이런 거대한 공공 뉴스 채널이 권력의 입김에 허망하게 민간에게 넘어가 변질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음을 개탄하는 마음에서다. YTN만 아니라, ‘바이든 밀리면’ 사건으로 찍힌 MBC도 민간에게 넘어가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대통령실의 입김으로 YTN 지분을 내놓게 된 한전 KDN과 한국마사회는 사실상 이 지분을 매각하기 싫은 데도 정부의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목줄이 잡혀 뜻에 따르고 있다고 한다. 현재 YTN 임원 가운데는 한전KDN 출신과 한국마사회 출신도 있다.
‘미디어 오늘’은 지난 20일 전국언론노동조합 고한석 YTN지부장과 인터뷰한 내용을 보도했다. 공공언론기업에서 민간기업의 이익을 챙기는 ‘사영화’로 전환되는 마당에 선 기자들의 다급한 목소리가 힘겹게 나왔다.
고 지부장은 “YTN 공기업 지분매각은 단순한 지배구조 변화를 이야기하는 게 아니다. 특정 사주가 들어온다면 결국 보도국의 공기부터 바뀌게 된다. 질서가 바뀌고 새로운 역학관계가 생긴다는 것이다.
한국 언론계에서 사주가 들어와 좋게 작용한 전례가 있는가.”라고 공기업 지분을 사기업에 넘기는 일을 지적했다. 이어서 그는 “대한민국에선 선의의 자본을 기대하는 건 미몽(迷夢)이다.
그래서 사주 중심의 보도국 재편을 거부하는 것이다. 사주는 결국 자본이고, 자본은 이윤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 이윤을 추구하려면 권력에 잘 보여야 할 수밖에 없다.”라고 걱정하고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YTN 지부는 지분 매각을 앞두고 사측과 단체협약을 체결했다. 노동조합의 동의 없이 구조조정, 자산매각을 할 수 없도록 했다. 아울러 낙하산 보도국장을 막기 위해 ‘YTN 재직 10년 이상’이라는 보도국장 임명 조건을 신설했다.
가히 파격이라고 할 만큼 노동조합과 회사 간의 협약을 이루었지만, 과연 새 민간기업 운영진이 들어와서 그 합의 사항을 지킬 것인지는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기업이 언론을 지배구조 안에 들일 때는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고 극대화하겠다는 목적을 두기 때문이다.
YTN은 2021년 시청 점유율 6.265%, 납입자본금 420억 원에 연간 매출 1,521억 원, 매출원가 1,384억 원, 매출 총이익 137억 원에 당기 순이익 55억 원의 견실기업이다. 공기업이어도 정부 편향 보도도 하지 않는 언론 채널이다.
고한석 지부장은 또, “분명히 해야 할 건, 우린 어떤 기업도 들어오지 않기를 바란다. 현재 구조대로 유지되고, 이후 정부의 개입에서 벗어나기 위한 사회적 소유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현재 YTN의 사내 유보금은 1,400억 원에 이른다. 유보금을 통해 재단을 세우고, 사회적 소유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다.”라고 방법을 제시했다.
YTN을 국민소유 언론기업으로 만들어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는 바른 언론으로 육성하는 최선의 길이 있는데도 정부의 압력으로 사기업에 넘기는 일은 안 된다는 주장이다. 최악의 상황에 기업의 소유가 되더라도 보도에는 개입하지 않는다는 약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언론공기업을 사기업에 넘기는 이유는 입맛에 맞는 기업에 맡겨 정부와 여당의 나팔수로 쓰겠다는 속셈일 듯하다. 모든 언론이 정부와 여당을 칭송하게 만드는 언론 장악은 가능한 것일까? 모든 정권이 바라는 일이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더구나 오늘의 우리 국민은 의식 수준이 크게 올라 어리숙하게 믿거나 속지도 않는다. 나름의 기준으로 정치를 분석하고 이해하기에 여론조사 기관이 발표하는 조사 결과도 믿지 않는다고 한다. 주변 여론은 그대로 이거나 더 나쁜데 ‘잘한다’라는 응답이 자꾸만 늘고 있으니….
민주주의는 다수 국민의 뜻에 따르는 정치이다. 그 원칙에 따라 윤 대통령도 선출되었고 모든 대의정치의 기본은 다수결이다. 따라서 정치도 다수 국민의 뜻에 따라야 한다. 특정 세력이 국가의 중추 권력을 장악하고 다수의 의견을 깔아뭉개는 건 민주주의가 아니다.
윤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강조했고 몇 차레나 말했던 “오로지 국민을 위해서, 국민의 뜻에 따라” 정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요즘 정치는 아무래도 대통령의 뜻에 따라, 말 한마디면 우르르 따르고 시행하는 이상한 정치가 이어지고 있다.
대통령의 말이 떨어지면 누구도 이의를 달지 못한다. 전제 군주 시대 임금도 재상과 신하들이 ‘아니되옵니다.’하고 막아서서 명분이 서지 않으면 명령을 거두었다. 거대 야당은 마루 밑에서 강아지가 꼬리를 말고 짖듯 혼자 깨갱거리다가 조용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