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에 그려진 현대회화
도자기에 그려진 현대회화
  • 김상기
  • 승인 2010.07.13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점토 작업하는 이화준의 7번째 개인전
“도예가??? 미술가??? 나도 모르것다.”

이화준(37)은 뭘 담을 수 없는 도자기를 만들고 있다. 실생활에 사용할 수도 있을 것 같지만, 만드는 이유가 그것과는 멀다.

그의 작업은 회화작업이다. 그림을 그리는 행위다. 흙을 구워서 그려낸 회화. 도자기 만드는 고도의 기법을 이용해 제작한 현대회화.

화가들은 보통 캔버스를 구입한 후 물감으로 그림을 그린다. 하지만 이화준은 자신만의 캔버스를 만들어 사용한다. 도자기로 만든 캔버스. 그러다보니 캔버스 준비하는 시간이 만만치 않다.

흙으로 모양을 만들고, 그늘에서 잘 말린 후 초벌구이. 여기까지 해야 겨우 캔버스가 마련된다. 거기에 그림을 그리고, 유약 바른 후 재벌구이. 그래야 작품이 나온다.

도자기 위에 그려진 그림은 평범해 보이는데, 글쎄다, 살펴보니 그것 또한 그렇지도 않다. 한옥지붕에는 이젠 사라져 볼 수 없는 TV수신용 안테나가 달려 있다. 여기저기 전신주를 연결하는 전깃줄도 즐비하다.

도자기와는 맞지 않을 것 같은 이질감이 들만도 하다. 도자기에 그런 걸 그리는 이가 얼마가 되겠는가. 근데 잘도 어울린다. 분명 문명의 이기가 만들어낸 인공물이긴 하지만, 사라지는 옛 기억 속의 대상들이 되고 말았으니, 그것들 또한 아련한 정서의 일부가 될 수도 있을 터.

그것뿐인가. 바람나무는 왜 또 이다지 길더란 말이냐. 그리고 한 마리 새는 뭐한다고 그렇게 바람을 거슬러 날아가려고만 하는가.

“사람이야기죠. 제 이야기고요. 제가 꼭 그렇게 사는 것 같아서…. 바람나무는 백일홍에서 모티브를 가져왔어요. 남도 지방에서는 흔한 꽃이지만, 서울 같은 중부지방으로만 올라가도 백일홍이 서식할 수 없다고 하더라고요. 좋은 꽃이지만 흔하다는 이유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에서 느낌이 왔어요. 사람들은 자기 살기 바빠다고 남의 소중한 가치 같은 데는 별로 신경 쓰지도 않잖아요.”

전북예술회관 2층 4전시실에서 15일까지 전시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