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민언련 토론회와 지역신문
전북 민언련 토론회와 지역신문
  • 신영배
  • 승인 2020.12.09 15: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영배 대표이사
신영배 대표이사

지난 2일 전북 민언련이 전북도의회 세미나실에서 도내 각 자치단체와 기관의 홍보예산 집행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명제를 정하고 무엇을 그 기준으로 삼아 홍보비를 집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한다.

얼핏 생각하면 지자체마다 나름의 기준을 두어 홍보비를 집행하기 때문에 일정 기준을 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지역마다 홍보 내용이나 시의성 등에 따라 홍보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일정 기준으로 신문사에 보조금 주듯이 홍보예산을 지급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홍보예산은 광고비 지출하듯이 몇 단 몇 행의 기사 크기로 지출할 수도 없고 기사의 성격이나 내용에 따라 적정한 판단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홍보예산은 시군의 홍보 효과 판단에 따라 지급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홍보가 목적인 예산을 대형 언론사의 입김에 눌려 공과(功過)를 생각지 않고 정액으로 지출할 수는 없다그럼에도 전북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이 나서서 자치단체의 홍보예산을 집행하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나선 이유는 무엇일까? 이 단체의 성격으로 보아 이런 일에 앞장서는 건 단체의 설립 목적과 전혀 맞지 않다는 것이 토론회를 지켜본 관계자들의 반응이다.

민언련의 정관 제2(목적) 는 본 회는 언론의 민주화와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언론에 대한 감시와 비판, 견제 그리고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사회적 공기로서의 언론의 사명을 다하도록 하는 시민운동 단체이다.’라고 적혀 있다.

-민언련의 이중적 태도

언론의 민주화와 사회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다는 전북 민언련이 지난 2008년에 ‘2008년 지자체 대언론 홍보예산 편성에 관한 의견서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홍보예산 집행기준을 제시했다. 그 기준이 발행 부수와 유가 부수였다. 그 의견서의 핵심은 홍보예산을 발행 부수와 유가 부수에 따라 지급하라는 것이었는데 그 이유는 지역신문의 난립을 막기 위해서라고 했다.

이 대목은 지난 2일 김 아무개 전 전북민언련 사무처장이 발제자로 나서서 주장한 내용과 같다. 다음날 전북일보는 김 씨는 홍보예산 집행의 합리적 기준(발행 부수와 유가 부수)을 마련하지 않는 한 지역 언론 시장의 정상화는 요원하다고 지적했다고 대서특필했다.

지역신문의 난립이라는 지적은 과연 무엇인가? 기득권 신문 2~3개가 제대로 출입관청과 밀착해 감출 것은 감추고 알릴 것만 알리는상황이 언론시장의 안정이라는 의미로 해석하면 될까. 언론의 민주화는 일부 특정 신문이 지역 언론을 장악하도록 돕고 부추기는 일을 말하지 않는다.

정부나 지자체의 일거수일투족을 언론이 제대로 비판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언론 민주화를 언급할 수 있다. 음식점은 규모와 관계없이 이 있으면 손님이 몰린다. 언론 또한 출입처의 광고와 홍보비 등의 이해와 상관없이 날선 비판이 보도돼야 독자의 호응을 얻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신문의 난립이라는 말 자체가 독재시대의 발상이다. 작금의 현실은 불법과 탈법을 저지르는 신문은 살아남을 수 없이 밝은 세상이다. 몇몇 기득권 신문의 편을 들어 발행부수와 유가부수를 홍보비와 광고비 산정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

-언론시장의 황폐화

전북일보는 지난 3일 치 신문에 전북민언련 토론회 언론 홍보예산 발행·유가부수 따라 차등지급해야”’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그 첫 줄에 전북 지자체와 기관의 언론 홍보 예산집행과 관련 발행부수와 유가부수를 따져 차등 집행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돼야 지역 언론시장 황폐화를 막을 수 있다는 토론 결과가 나왔다.’라고 썼다.

기사는 위 내용을 근거로 지역신문에 대한 홍보비를 집행하는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여러 차례 되풀이하는 것이 전부였다. 2018년 신문 발행부수와 유가부수를 기사 속에 참고자료로 넣는 것도 잊지 않았다. 전북일보와 전북도민일보가 도내 발행부수의 절만을 차지하고 있다는 자랑(?)을 제시한 것이다.

지금은 세상 돌아가는 정보를 모두 인터넷상에서 전개되는 유튜브(YouTube)와 포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을 통해 얻고 있다. 포털사이트에서의 기사표출은 종이신문의 머릿기사에 비해 엄청난 전파력과 열독율을 유지한다. 그리고 미디어에 가짜뉴스가 아닌 진짜뉴스를 제공하는 곳이 바로 신문사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광고비와 홍보예산을 신문의 발행부수와 유가부수에 연계해야 한다는 것인지, 참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토론회에 참여한 토론자들의 사고방식으로 종이신문을 말한다면 조선·중앙·동아일보 세 일간지와 일부 대형신문만 남고 나머지는 다 불필요한 신문들이다. 그런 논리를 적용하면 26,000여부를 발행하고 있다는 전북일보는 조중동에 비하면 신문도 아니다.

신문시장의 현실은 울며 겨자 먹기로 마지못해 신문을 구독하고 있다. 그럼에도 발행부수 운운하며 신문의 사세를 자랑하는 건 부끄러운 일이다. 단언컨대 도내 발행 신문 가운데 독자가 펴보는 수는 20%도 되지 않을 것이다.

여러 신문이 난립해 언론시장이 황폐화한다는 기사 내용을 보고 이거야말로 견강부회(牽强附會)가 아닌가 생각했다. 군소 신문을 모두 문 닫게 하고 넉넉한 몇몇 신문사가 지역 언론을 장악하지 못해서 언론시장이 황폐화되고 있다는 뜻이다. 끼리끼리 그야말로 시민의 눈과 귀를 막고 잘해보자는...,이게 자칭 도내 1위 신문의 1면 기사다.

오늘의 도내 언론이 황폐화하는 가장 큰 이유는 출입처의 기자단이다. 출입처는 그 기자단을 통해 기사내용을 통제하고 감추는 체제 아래서의 민주언론은 오래전에 죽었다. 여기에 광고와 또 다른 특혜 즉 알파가 제공되면 대서특필하거나 눈 딱 감고 모른 척하는 기자단과 그 신문사를 찾아내 비판해야 하는 일이 민언련이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일이라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