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소송법 개정, "모두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형사소송법 개정, "모두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 하재훈
  • 승인 2020.08.28 14: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 본 경장(정읍경찰서 수사과)

지난 7일 형사소송법 개정을 앞두고 형사소송법, 검찰청법의 대통령령 등의 제정안을 마련하는 입법예고안이 발표됐으나 일선 경찰관들은 크게 실망하고 있다.

국회를 통과한 수사권 조정안 핵심 내용은 △검사 수사지휘권 폐지 △경찰 1차수사 종결권 부여 △검사 직접수사 범위 제한 등이다.

큰 내용으로 봤을 때는 검찰개혁, 경찰 권한 확대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첫째는 수사준칙 주관부서가 법무부로 지정된 것이고, 둘째는 수사권 조정이 상호협력, 대등관계를 실현해야 하며, 공동주관으로 가야함에도 불구하고 검사의 직접수사 범위를 지나치게 확장하고 있어 법률의 위임 범위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검사의 수사개시 범위로 정한 6개의 범죄 유형에는 부패·경제·공직자·선거·방위사업·대형 참사 등으로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해야 함에도, 이번 입법 예고안에서는 마약범죄를 경제범죄로, 사이버범죄를 대형참사 범죄로 규정했다.

또 부패·경제·선거범죄의 제한 기준까지 법무부령에 위임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대통령령의 해석 및 개정을 법무부 장관에게 맡긴 것이고 곧 검찰개혁의 취지를 무시하는 독소조항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김창룡 경찰청장은 개정 형사소송법을 향하여 “수사준칙 부분이 수사 초기에 압수수색 영장을 받으면 그것을 근거로 경찰에 사건 이첩을 하지 않고 검사가 계속 수사할 수 있게 했다”라며 사실상 검찰이 무제한적으로 모든 범죄를 수사할 수 있음을 지적한 바가 있다.

또한 검찰청법에도 ‘검찰수사 제한’이라는 형사소송법 개정의 가장 큰 취지가 반영되지 않았으며, 이는 법의 정신에 전면으로 반한다.

'기소는 검사가, 수사는 경찰이, 혜택은 국민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됐다. 이 타이틀이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번 입법예고안에 대하여 경찰뿐만 아니라 범국민적 관심과, 사회 각계각층의 광범위한 의견을 취합하는 새로운 안이 필요하다. 

/정읍경찰서 수사과 수사지원팀 경장 김 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