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꾸미를 통해 신의 존재를 묻는 시”
“주꾸미를 통해 신의 존재를 묻는 시”
  • 김규원
  • 승인 2022.05.02 12: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상에서 제일 미련한 것은 주꾸미들이다

소라껍질에 끈 달아 제 놈 잡으려고

바다 밑에 놓아두면 자기들 들어가

알 낳으면서 살라고 그런 줄 알고

태평스럽게 들어가 있다

어부가 껍질을 들어 올려도 도망치지 않는다

파도가 말했다

주꾸미보다 더 민망스런 족속들이 있다

그들은 자기들이 만든 소라고둥 껍질 속에 들어앉은 채

누군가에게

자기들을 하늘나라로 극락으로 데려다 달라고 빈다

 

-한승원(1939~. 전남 장흥)쭈꾸미전문

21세기 대명천지에 참 기막힌 일들이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 도사인지 무당인지, 아니면 천기를 염탐한 술사인지, 그의 말에 따라 한 나라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사람이 손바닥에 자를 쓰고 나와서 경쟁자들과 토론을 벌인다. 그 왕 자가 TV를 통해 일파만파 삼천리 방방곡곡에 전달되었고, 종이신문에 사진으로 박혀서 고을, 고을마다 뿌려졌다. 듣지 않으려 귀를 막고, 보지 않으려 눈을 가려도 들리고 보이느니 왕 자 타령이었다. 그때 이미 게임 끝난 줄 알았다. 어느 어리석은 자가 최첨단 과학기술문명이 지배하는 시대에 왕조시대 후궁에서나 있을 법한 주술에 의지하는 자를 왕으로 뽑겠는가. 그런데 보시는 바처럼 그런 자가 대통령에 뽑혔다. 그는 아마도 주술의 힘을 믿고 대통령이 아니라 왕 노릇을 할 것으로 보이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주꾸미 같은 행태가 아닐 수 없다.

그뿐만이 아니다. 멀쩡한 청와대를 놔두고 단 하루도 그곳에 들어갈 수 없다며 집무실 타령으로 대통령 인수업무로 바쁜 시간을 소진하고 있다. 저잣거리에서 들려오는 풍문에 의하자면 이 또한 도사인지 무속인인지 술사인지 하는 자의 점괘 때문이라고 한다. 필자야 확인할 길이 없으나, 단 하루는 고사하고, 단 한 발짝도 그곳에 들지 않겠다고 고집하는 것을 보면 풍문이 낭설만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전직 대통령은 자정을 넘기지 말고 나가라고 하는 것 하며, 국가안보의 핵심 기관들이 들어서 있는 국방부 건물을 당장 비우라는 등 고집과 불통의 명령을 해대는 것을 보면 우리가 [민주시대] 대통령을 뽑은 게 아니라, [군주시대] 왕을 뽑은 것이 틀림없다. 주꾸미 닮은 행태가 아닐 수 없다.

또 있다. 그는 욕망의 화신이 되어 그렇다고 하자. 그러나 민주 시대에 왕이 되겠다는 자를, 첨단 과학기술 문명을 외면하고 점괘나 주술사의 말에 의존하는 자를, 바로 자신들의 지도자로 적격이라며 뽑은 유권자들이 있다. 설마가 사람 잡는다는 말이 딱 제격이다. 설마 민주 진보 세력이 아무리 미워도 저렇게 시대에 뒤떨어진 사고방식을 가진 자를 설마, 자신들의 리더로 옹립할까? 설마가 사람을 잡고 말았다. 주꾸미 같은 바람이 아닐 수 없다.

을 믿느냐 마느냐는 개인 선택에 달렸지만, 인간이 신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잠시도 살 수 없을 만큼 나약한 존재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하다못해 송아지 형상이라도 만들어 놓고 두려움을 지우려 하는 게 인간이다. 송아지가 흙이나 나무토막이나 쇠붙이로 바뀐 불상이거나 십자고상이라 해서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주꾸미처럼 소라 껍질을 온 세상으로 아는 자에게 그것을 들어 올리는 어부를 신으로 여길 수 있지만, 그걸 벗어나지 못한 채 한세상을 마치곤 한다.

그래서 결국은 밖에서 찾아지는 것들이 나를 구원하지 못하고, 안에서 얻는 깨달음이 나를 구원할 것이다. 그 구원의 실체가 무얼까? 그것을 안다면 이렇게 방황하고 혼란스럽지 않을 것이다. 다만, 그 구원의 실체에 이르는 길을 조금 짐작이나마 할 수 있어 다행이다.

이를테면 교만보다는 겸손을 동행해야 구원에 이를 것이라는 짐작, 원망보다는 감사가 구원의 길에 동무가 되리라는 믿음, 이기심으로 무장하기보다는 이타심 빈손으로 무장을 해제해야 평안할 것이라는 바람, 과거의 후회나 미래의 두려움보다는 현재를 놓치지 않는 슬기가 전략-전술일 것이라는 판단……들은 구원의 실체가 아니라, 구원에 이르는 길에 놓여 있거나 동행하거나 갖추어야 할 요소들일 것이다.

명심보감에 <念念要如臨戰日이요 心心常似過橋時>라는 경구가 있다. <요긴한 일에 마음을 쓰는 것은 전쟁에 나가는 날처럼 하고, 항상 마음을 써야 하는 일은 다리를 지날 때처럼 하라>는 뜻이다. 이것을 잊을 때 결국 주꾸미처럼 어부의 낚시에 걸려들게 될 것이다. 하긴 그것마저 승천하는 좋은 기회로 안다면 그것으로 만족하면 그만이지만.

예로부터 인간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을 때, 하늘에 바라거나 하늘에 맡겨 왔다. 그러나 아무리 봐도 하늘에는 구원의 실체가 없다. 대기권만 벗어나면 광막한 우주가 펼쳐져 있을 뿐이다. 그럼으로 위에 있다는 하늘이 결국은 아무도 올라갈 수 없고 닿을 수 없는, 한 길 속도 아니 되는 자신의 마음안에 있음을 짐작하는 것은 그리 어려울 것이 없다.

하늘에 맡긴다는 것은 결국 내 마음에 맡긴다는 뜻이다. 그 마음 안에 무엇이 있을까? 인류 역사의 부침 속에서 그렇게도 찾아 헤매던 온갖 지혜도 진리도 진실도 가치도 자신의 마음 안에 있음을 어찌 부정할 수 있을까?

정의와 불의도, 아름다움과 추함도, 가치와 무가치도, 양심과 비양심도, 즐거움과 괴로움도, 아군과 적군도, 기쁨과 슬픔도, 행복과 불행도……모두가 내 안에 있는 하늘[마음] 안에 있음을 알면 그만이다. 그럴 때 비로소 인간은 주꾸미의 신세에서 한 발 나아갈 수 있을까, 그것마저도 섣불리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이 시가 그런 생각을 붙잡아 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