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합리적 운영 방안 모색해야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합리적 운영 방안 모색해야
  • 김도우
  • 승인 2019.07.18 18: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32억 들여 2020년까지 조성… 창업보육센터-실증단지 등 갖춰

적은 임대료 내고 스마트팜 도전… 지하수 고갈, 멸종위기종 보호 등 차분히 해결
이 사업은 국책 사업으로 2020년까지 추진되는 100대 국정과제, 8대 혁신과제에 반영된 사업이기도 하다.

 

지난해 8월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에 김제가 선정되었다.

개방화, 고령화 등으로 농업의 성장·소득·수출이 정체되어 스마트 팜을 통해 청년유입, 농업 투자·동반성장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전북도는 환호했다.

전북도는 5대 농생명 클러스터와 연계한 농생명 청년창업의 거점화로 국가 미래농업 육성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사업은 국책 사업으로 2020년까지 추진되는 100대 국정과제, 8대 혁신과제에 반영된 사업이기도 하다.

문제는 지역주민들이 스마트 혁신밸리가 들어서면 지하수가 고갈 되고, 멸종위기종이 소멸 되는 등 반대 입장도 만만치 않다.

 

지하수 개발 않겠다...금강용수 등 관로 연결해 사용

농식품부와 전북도는 기본계획에서 지하수 5곳을 개발하기로 했다. 농민단체와 지역주민들은 즉각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전북도는 이에대해 지하수 개발을 하지 않고 백구 양수장에서 용지까지 흘러가는 금강용수 및 부용천에 관로를 연결해 농업용수을 처리하기로 했다.

이정현 전북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지하수 계획을 폐기하고, 대체부지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처장은 혁신밸리 기본계획안에 명시된 것처럼 대형 관정을 개발해 하루 1000톤의 농업용수를 혁신밸리에 공급할 경우 지하수 의존도가 높은 지역 농가들이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환경단체 등 지역민들은 혁신밸리에 쓰이는 모든 농업용수를 금강에서 가져다 쓴다고 해도 주변 농가의 지하수 부족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나서 이 문제도 풀어야 할 과제다.

 

독미나리·물고사리 등 멸종위기종 보호

전북 환경단체들은 스마트팜 혁신밸리부지인 김제 백구면 부용제에 멸종위기 2급 식물로 지정된 물고사리가 대규모로 서식 중이라며 여기에 대한 대책마련도 지적한다.

전북도·농식품개발원은 단지를 조성하기 전 환경청에 허가를 받고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윤재준 전북도 원예팀장은 멸종 위기종 이식 계획을 수립하여 환경청 허가를 받은 후 개발 할 것이다고 말했다.

독미나리 일부는 유수지에 보전하고, 일부는 인근저수지에 이식하겠다는 것이 전북도 입장이다. 물고사리는 서식지 원형그대로 보전한다는 계획이다.

전북도는 자연경관·지하수 고갈·홍수조절 등 환경적 기능 훼손에 대해 차분히 해결해 나가다는 입장이다. 스마트팜 단지내 생태공원을 조성해 물고사리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는 것이다.

스마트 팜 혁신밸리를 조성하고 이후 대기업에 시설을 매각한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교육 및 실증연구 시설로 기업의 농업생산 참여 불가 공유재산을 매각할 경우 지방의회 승인이 필요해 임의 매각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최재용 전북도 농축수산식품국장은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들어서 특정농산물 생산 과잉 문제는 농가와 경합이 적고 경제성 있는 쌈채소·아스파라거스·오이·가지·딸기 등을 선정했다총 온실 면적은 11.3정도로 5개 예정 품목으로 나눌 경우 평균 2.3로서 국내 총 생산량에는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최 국장은 농민단체가 참여하는 삼락농정 TF팀을 구성해 품목을 선정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기반조성(토목), 공사 착공은 10월에 하고, 스마트팜 청년창업 교육생을 선발은 8월에 마무리 한다는 방침이다. 모집인원은 52명이다.(신청접수 146)

/김도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