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재앙(核災殃)을 안고 사는 전북
핵재앙(核災殃)을 안고 사는 전북
  • 전주일보
  • 승인 2019.06.25 16: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광 한빛 원자력발전소에서 지난 510일 발생한 한빛 1호기 열출력 급증 사고가 무면허 직원의 조작 잘못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전북도민의 항의와 대책 마련, 한빛 1호기 폐쇄 등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사고 내용을 보면 당일 한빛 1호기 원자로의 열출력이 제한치(5%)를 초과한 상황에서도 규정대로 원자로를 즉시 정지하지 않았다. 특별조사 결과 한빛 1호기의 열출력 급증의 직접적인 원인은 근무자의 계산 오류 때문이었다. 시험 중 원자로 제어봉을 조작하는 그룹 간의 편차가 생겼고, 한수원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제어봉을 인출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때 필요한 반응도(원자로 출력 변화값) 계산이 잘못돼 원자로 출력값이 18%까지 급증했다.

제어봉은 원자로에서 핵연료의 핵분열 반응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로 치면 브레이크에 해당한다. 핵연료 교체 후 원자로를 정상 작동하려면 제어봉이 원자로 출력을 설계한 대로 제어되는지 시험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제어봉 제어능 측정법이 14년 만에 붕소희석 및 제어봉 교환법으로 변경됐는데 반응도를 계산한 원자로 차장은 기동 경험이 처음이었고 관련 교육 훈련도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하마터면 체르노빌처럼 원자로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던 아찔한 순간이 진행되었던 것이다. 원자로를 자동차 정도로 가볍게 생각한 것이 아니라면 무자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아무렇게나 관리할 수 없는 일이다. 자동차도 면허 없는 청소년이 운전하다가 끔찍한 사고를 내는데, 하물며 원자로를 무면허로 운전할 수 있게 두었다는 건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다.

24일에는 국회 과방위원회가 열려 원자력위원회의 조사결과를 보고 받았으나 이미 보도된 내용 이외에 심도 있는 조사나 개선 방향, 인접 지역에 대한 안전대책 등이 전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원자력위원회는 위험한 순간이 있었음에도 원자로는 절대 폭발 등의 위험이 없고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다는 답변으로 얼버무렸다고 한다.

영광 한빛 원자력발전소 반경 30안에 전북 고창군과 부안군이 있다. 만일 사고가 나서 직접 피해가 발생한다면 전남과 전북의 피해 가능 인구수도 같다. 그런데도 영광원자력발전소의 행정구역이 전라남도라는 이유로 방사능 방제예산을 전남에는 500억원, 전북에는 25만 지원했다. 이번 사고 내용도 전북도에는 운영기술지침서 적용에 따라 수동정지했다는 간단한 문자만 보내왔다고 한다.

피해는 같이 보는데 자치단체가 다르다는 이유로 20:1의 예산을 지원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한수원은 분명히 밝히고 이제부터라도 제대로 지원금액을 배분해야 할 것이다, 물론 그에 앞서 원자로 사고를 막을 자동 가동중지 시스템을 하루빨리 설치하고 CCTV로 중요 조작시스템을 감시하는 대책도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말썽을 빚는 한빛 1호기 원자로는 당장 폐기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