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ESS화재 원인은 부실한 관리
연이은 ESS화재 원인은 부실한 관리
  • 조강연
  • 승인 2019.06.11 1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 원인이 부실한 관리인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조사위)’가 실시한 조사 결과를 11일 공개했다.

조사위에 따르면 ESS 화재 사고는 20178월 고창군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전국 각지에서 총 23건 발생했다.

이 가운데 도내의 경우 같은 기간 4건이 발생했으며, 연도별로는 지난 20171, 지난해 1, 올해 5월 말 기준 2건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ESS 화재 사고가 지난해 5월부터 집중되기 시작하면서 정부는 같은해 1227일 조사위를 꾸려 약 5개월간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전체 23건의 사고 중 14건이 충전 완료 후 방전대기(휴지) 중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충·방전 중 6, 설치·시공 중 3건 순으로 조사됐다.

용도별로는 태양광·풍력 연계용 17, 수요관리용 4, 주파수 조정용 2건 등이었다.

조사위는 이러한 화재원인으로 배터리시스템결함 전기적 충격 요인에 대한 보호체계 미흡 운용환경관리 미흡 및 설치 부주의 ESS 통합관리체계 부재 등 크게 4가지 요인을 꼽았다.

구체적으로는 지락(전로와 대지 간 절연이 저하돼 전로 또는 기기 외부에 전압·전류가 나타나는 상태단락(전기 양단이 접촉돼 과다한 전류가 흐르는 현상)에 의한 외부 전기충격(과전압·과전류)이 배터리 시스템에 유입될 때 배터리 보호 체계인 랙 퓨즈가 빠르게 단락 전류를 차단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절연 성능이 저하된 직류접촉기(DC Contactor)가 폭발하고 배터리보호장치 내 버스바(Busbar)와 배터리보호장치의 외함을 타격하는 2차 단락 사고가 발생하면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어 산지나 해안가에 설치된 ESS 시설은 큰 일교차로 인한 결로와 다량의 먼지 등에 노출되기 쉬운 열악한 환경에서 운영될 경우 배터리 모듈내에 결로의 생성과 건조가 반복(Dry Band)되면서 먼지가 눌러 붙고 이로 인해 셀과 모듈 외함간 접지부분에서 절연이 파괴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밖에도 배터리 보관 불량, 오결선 등 ESS 설치 과정에서의 부주의가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산업부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종합적인 안전강화 대책을 시행키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ESS 제조·설치·운영 단계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소방기준 신설을 통해 화재대응 능력을 제고하는 종합적인 안전강화 대책을 시행할 예정이다면서 “ESS의 안전성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끌어올려 지속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조강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