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느는데, 관리시설 태부족...대책시급
치매환자 느는데, 관리시설 태부족...대책시급
  • 조강연
  • 승인 2019.04.22 18: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치매환자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상담센터 등 전문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가족의 정식적, 육체적 고통이 커질 우려가 높아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치매예방 인프라 구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최근 중앙치매센터가 발표한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에 따르면 전국 65세 이상 추정 치매환자는 705,473명으로 치매유병율은 10.0%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꼴로 치매를 앓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상황은 도내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전북지역 치매환자는 전체 노인 인구 343,522명 중 37,921명으로 유병율은 11%를 기록했다.

중앙치매센터는 치매환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전국기준 2024년에는 백만명, 2039년에 2백만명, 2050년에 3백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문제는 이처럼 치매환자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전문 관리인력은 턱 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특히 전북의 경우 치매환자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지만 치매상담센터 등 전문시설은 전국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전북지역 치매의존비(치매노인 1명을 돌봐야 하는 생산가능인구는 33.3명으로 전남(27.7)을 제외하고 전국에서 치매환자를 돌보는 인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치매환자 등록관리, 보호자에 대한 상담 및 지원 등의 업무를 맡고 있는 치매상담센터는 도내 14곳에 그쳐 전국에서 7번째로 적었다.

이처럼 부족한 전문 관리시설로 인해 치매환자와 가족이 느끼는 부담은 더욱 가중됐다.

지난 2017년에 조사된 치매환자 관리비용을 살펴보면 치매환자 1인당 연간 2,074만원으로 전체 소득의 38.9%를 차지할 정도로 경제적 부담이 심각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경제적 부담이 치매환자 가족의 극단적 선택 등 사회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목소리다.

따라서 치매상담센터 확충 등 치매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조강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