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내년 건설불황 준비해야
건설업계, 내년 건설불황 준비해야
  • 이용원
  • 승인 2017.11.29 1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경기에 적신호가 켜졌다.

업계에서는 그동안 '위험 신호'에 머물렀던 건설경기 경착륙설이 내년부터 현실화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먼저 2018년의 건설투자는 정부의 SOC 예산 감소 등의 영향으로 부진이 예상된다.

또 내년 건설투자는 신규주택 분양이 부진하고,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투기억제책이 예고됨에 따라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주거용 건물 투자는 아파트 분양권 전매 제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 조치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증가세가 크게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토목건설 투자 역시 계획 중인 민간의 대규모 프로젝트가 많지 않고, 정부의 SOC 지출 감소에 따라 2017년의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건설수주와 부동산 심리지수 등 건설경기 선행지표들은 건설경기가 위축되면서 올해 하반기부터 하락세로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낼 것으로 관측된다.

여기에 건설경기는 올 하반기 이후 후퇴국면이 시작되고 내년 하반기에서 2019년 중에 불황국면에 진입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내년 건설수주가 올해보다 15% 감소한 133조원일 것으로 전망했다. 부문별로 공공부문은 42조원, 민간부문이 91조원으로 각각 10.5%, 16.9%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연구원은 내년 부동산 시장의 3대 리스크로 유동성 축소와 더불어 수요 위축과 준공 증가를 꼽았다.

먼저 유동성 축소는 금리 인상과 가계부채 관리 등이 복합 요인이다. 금리 인상은 주택가격을 끌어내리는 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에 적극 나선 것도 가계의 유동성을 옥죄는 요소다.

또한 수요 위축은 신규 주택 구매자에 대한 금융규제 강화 탓이 크다. 내년부터 신 DTI(총부채상환비율)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실시되면 대출 문턱은 더 높아진다.

아울러 내년에 준공하는 아파트 물량은 44만4,000가구로, 올해(37만9,000가구)보다 17% 늘어난다. 준공 아파트가 40만가구를 넘어선 것은 1990년대 이후 처음이다.

결국 호황을 구가하던 부동산경기가 주춤하면서 불이 붙었고 여기에 정부가 SOC예산을 내년에 대거 삭감하는 것을 시작으로 매년 줄이겠다고 발표하면서 기름을 끼얹어 마이너스 성장까지 점쳐지는 가운데, 이같은 불황이 최소 2~3년은 지속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내년부터 건설투자 감소에 따른 경기불황 진입이 유력해지자 장기불황에 대응하기 위해 건설업체들의 발빠른 준비가 요구된다.

지난 3년간의 호황이 끝나고 가파른 침체가 전망됨에 따라 건설업체들에게 있어서는 수주잔고 확보를 비롯해 리스크 관리,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하는 경영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