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빅데이터
  • 전주일보
  • 승인 2017.04.24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날로그 환경시대에는 상점에서 물건을 살 경우 구입 기록만 남았었다. 우리의 생활환경이 PC에서 시작해 인터넷, 모바일 등 SNS의 일상화라는 디지털환경으로 급변하면서 사람들이 도처에 남긴 발자국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인터넷쇼핑몰을 통한 상품 구매를 하지 않더라도 구매 희망자가 돌아다닌 기록은 자동적으로 데이터로 저장된다. 어떤 상품에 관심을 보였는지, 특정 쇼핑몰에 얼마나 머물렀는지, 그가 속한 세대와 취향 등등. 이른바 고객 데이터다. 은행이나 증권사 등을 통한 금융거래, 교육과 학습, 여가활동, 각종 자료 검색과 메일 주고받기, SNS가 우리의 삶을 지배하기에 이르렀다. 사람과 기계, 기계와 기계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사물지능통신(M2M, Machine to Machine)의 확산이 디지털 정보를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한 이유다.

디지털 환경은 '빅데이터(Big Data)'시대를 도래하게 했다. 사용자의 휴대전화(스마트폰 등), UCC, 동영상콘텐츠 등을 통해 각종 수치나 문자,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생성되는 데이터의 규모는 방대하다. 그 빅데이터가 사람들의 위치정보, 행동양식, 사고, 의견까지 분석하고 향후의 어떤 예측까지 디지털 환경의 골자가 되고있는 것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최근 제19대 대통령선거 를 앞두고 쏟아져 나오는 각종 빅데이터 분석에 대해 제동을 걸고 나섰다. 다양한 형태로 소개되는 "'빅데이터 결과'를 선거 여론조사결과로 오인하지 말아야 한다"며 언론사와 유권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선관위에 따르면 이번 선거는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보궐선거의 성격으로 짧은 기간에 치러지기 때문에 후보자의 정책이나 공약을 검증하고 판단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유권자들이 대권가도에 나선 후보들의 면면이나 그들이 내세우는 공약의 속살들을 제대로 인지하고 선택에 참고하기가 쉬운 형국은 아니다. 그만큼 잘못된 여론조사나 불공정한 선거보도가 유권자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후보에 따라 들쭉날쭉한 여론조사의 속출도 문제인 터에 '빅데이터'를 빙자한 후보별 분석이라는 오류까지 유권자의 판단을 흐리게할 소지가 다분하다. 선관위는 그래서 "포털사이트나 SNS 등 제한적인 대상에서 수집하는 빅데이터는 표본의 대표성에 한계가 있다"며 "유권자들이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여론조사결과로 오인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해 달라"고 당부하기까지 했다.

선관위의 당부가 아니라도 조작 냄새까지 풍기는 편차 심한 여론조사는 물론 근거없는 빅데이터 분석결과에 유권자들이 눈 돌릴 일이 아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