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해야 산다
변해야 산다
  • 신영배
  • 승인 2017.01.11 16: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신영배 대표

필자는 지난주 종이신문의 위기를 강조하며 신문도 ‘변해야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다수의 독자들과 신문업계 관계자들이 문제를 제기했으면 해법을 내놔보라고 요청해왔다. 그만큼 종이신문의 위기를 타파할 묘책이 없다는 반증일 것이다.

그래도 신문이 살기 위해서는 변화를 선택해야 한다. 해법은 역시 원래 신문이 가진 저널리즘의 원칙, 즉 팩트에 의한 진실보도만이 독자들의 마음을 돌릴 수 있다. 물론 ‘종이’를 벗어난 모바일, 인터넷, 포털 등의 다양한 뉴스공급과 최적화된 콘텐츠와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하는 단서가 붙는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신문업계는 광고주와 정치권의 입맛을 맞추기 위해 존재하는 기관으로 스스로 전락했다. 특히 지역신문들은 지방자치단체장은 물론이고 지역출신 기초의원, 광역의원, 국회의원 등의 나팔수로 전락해 버렸다. 그래야 생존할 수 있었겠지만 저널리즘의 원칙은 무너졌다.

일부에서는 신문의 위기를 마치 다음이나 네이버 등의 포털 사업자 때문인 듯 지목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포털에 뉴스를 공급하고 있는 연합뉴스나 뉴시스 등 일부 통신사들이 신문의 주적으로 간주되고 있을 정도다.

그렇다면 포털 사이트가 인터넷에서 사라질 경우 종이신문의 경쟁력이 복원될 수 있을까? 답은 아니다로 정의 할 수 있다.왜냐면 포털이 없는 미국이나 영국, 일본도 종이신문의 존재가치가 우리 못지않게 큰 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포털 사업자의 존재가 뉴스 이용을 온라인과 모바일 영역의 광고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현실에서 신문이 취할 수 있는 전략은 더욱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위기가 가중되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고 뉴스공급의 디지털화라는 자연스러운 흐름을 신문이 나서, 막을 수 없다. 독자들의 뉴스 이용형태가 변화한 만큼, 변화된 언론환경에 우리 신문이 적응하며 진화하거나 변화를 해야 하는 책무가 뒤따른다.

더욱이 종이신문들은 신문 비즈니스의 기반인 종이를 버릴 수도 없고 독자와 광고주가 모여 있는 온라인을 무시할 수 없다는데 위기 극복의 딜레마가 있다. 여기에 출입처 등에서 이미 기득권을 확보했다고 생각하는 일부 신문사 종사원들의 잘못된 언론관 또한 신문시장을 더욱 고갈시키고 있다.

신문의 위기는 뉴스 생산 시스템의 위기를 초래한다. 이런 관점에서 신문의 위기를 바라보면 우리 사회에도 치명적인 위기일 수 있다. 아직도 뉴스의 1차적 생산은 신문을 제작하는 전통적 시스템에 있기 때문이다.

오늘의 지역 신문들은 수입의 상당 금액을 자치단체의 홍보예산에 의존하고 있다. 지자체의 홍보예산은 시민에게 정책을 홍보하고 단체장의 업적을 알리는 수단이 되지만, 지역 언론의 생존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런 홍보예산을 받아쓰면서 지자체의 문제와 비리를 보도해야 하는 게 언론의 생리다.

얼마 전에 김제시의회가 집행부와 의회에 비판적인 기사를 실은 신문은 구독하지 말고 홍보예산도 줄 필요 없다며 예산을 50% 삭감했다. 김제시의회 의원들은 시가 편성하는 예산이 의회와 공무원들의 돈으로 생각했던 듯하다.

홍보예산은 시정을 홍보하는 데 쓰이는 예산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지역 언론이 살아남아서 시정을 감시하고 잘못을 지적하여 시민들의 알 권리를 지키는 예산이기도 하다. 지역 신문이 제대로 감시자의 역할을 다하고, 시민의 알권리를 제대로 지키기 위해서 자치단체는 적절한 예산을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단체장은 시민이 표를 주어 일을 맡긴 일꾼이고, 의회는 시민들을 대신하여 시정을 들여다보고 방향을 제시하는 사람들이다. 공적예산을 확보하는 제도적 장치를 추진하는 한편으로 지역 신문들은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독자적인 ‘앱’을 개발하거나 시대에 맞는 콘텐츠를 개발하는 노력으로 시대의 변화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변화는 두려운 대상이지만, 두려움을 넘어서면 보람도 있다./신영배 대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